반응형

소설 5

우리가 소설을 읽어야 하는 이유(공감대 형성)

우리는 사회속에 살면서 많은 사람을 만나죠. 그러면서 '공감'이라는 요소가 중요한데 이 공감능력이 떨어지는 사람이 의외로 많습니다. 그런 사람들은 대체로 자신의 관점에서만 세상을 바라보기에 그런 문제가 생기는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제한된 시간과 공간속에서 살아가기에 세상에 대한 관점을 많이 접할 수는 없습니다. 여기에 도움되는 것이 소설이죠. 좋은 소설의 정의는 다양하겠지만, 읽으면 읽을 수록 다르게 읽히고 인물의 관점마다 읽을 수록 다르게 보이는 책, 저는 이것을 입체적이라 말하고 입체적인 소설이 저는 좋은 소설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한국 소설중에서 추천하자면 이청준 선생님의 과 김승옥 선생님의 , 이문열 선생님의 과 을 말하고 싶습니다. 이 중에 은 정말 읽으면 읽을 수록 재밌습니..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대학생 때 독후감 대회가 열려 각 잡고 썼던 독후감인데 안 뽑힘^.^ 을 읽고 강한 역설을 함축하고 있는 책의 제목처럼 이 소설은 어딘가 특이한 구석이 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소설의 정의를 보란 듯이 비껴가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이야기들은 시간의 흐름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배치되었고, 작가는 서사의 전면에 나타나 발화자로서 자신의 생각을 털어놓았다. 인물들은 덜 가공된 상태로 부유하기를 망설이지 않았으며 오히려 과장된 몸짓으로 자유를 이야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긴장의 끈을 팽팽히 당기는 것은 이 소설의 빼어난 매력이다. 나아가 쿤테라만의 독특한 시간 사용법은 이 책의 중요한 모티프 중 하나인 니체의 영원 회귀 사상을 떠올리게 한다. 전형적인 구속을 탈피하여 날것 그대로의 위태로움을 드..

이방인

지난 2월 독서모임때 읽었던 책. 오래전에 읽었던 책이었지만 내용이 명확하게 기억이 나지 않아 새롭게 읽어보았다. 뫼르소는 사회에 대해 중립적인 입장을 마치 제3자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삶을 살아왔으나 살인 이후 뫼르소는 제3자가 아닌 자신으로서 살면서 사회에 들어가고자 한다. 저자는 단조로운 문체로 중립적인 삶을 마치 3자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것처럼 서술한다. 엄마의 죽음앞에 담당한 주인공의 모습. 죽음앞에서 슬퍼하는 것이 아닌 문지기가 커피를 권했을 때 거부하지 않고 마실 정도로 죽음 앞에서 무덤덤했다. 이런 뫼르소의 행동은 부메랑 처럼 돌아왔다. 뫼르소의 죄목은 살인임에도 불구하고 아랍인이 죽었다는 사실보다 뫼르소가 얼마나 감정적으로 결여되어 사회에 부적합한 사람인지에 초점을 맞추고 결국 사형선고를 ..

허삼관 매혈기, '산다는 것'에 대한 질문

​ 1950-60년대 자기 피를 팔아 살아가는 주인공 허삼관을 다룬 중국소설. 그는 피를 팔아 번 돈으로 가정을 만들었고, 매번 위기때마다 매혈을 통해 가족을 지탱한다. 대약진 운동과 문화대혁명이란 역동의 중국 근현대사 속에서 허삼관이 자신의 몸을 희생하면서 가족을 위해 피를 파는 모습을 보며 '산다는 것' 에 대한 질문을 던져본다. 허삼관이라는 인물을 통해 인생의 희비극을 해학적으로 담아낸 소설. 항상 피를 판후에 승리반점에서 돼지 간볶음과 황주를 마시던 허삼관. 그 자제가 우리 삶이고 목적이지 않을까.

문학을 읽는것은 시간낭비다

나는 주변에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이유는 충분히 설명을 안한다. "우선 책은 많이 읽으면 좋아. 책을 통해서 너가 보지 못했던 세상을 볼 수 있고, 인생에 필요한 교양과 도움되는 정보를 얻을 수 있어" 를 중심으로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설파한다. 하지만, 나는 소설, 에세이등 문학 관련 책을 별로 안 읽는다. 책도 음식처럼 편식하면 안된다 라고 말하면서 나는 문학에 대해 편식을 한다. 생각해 보니 나는 독서를 단순한 정보의 유입창으로만 대해왔고 문학을 읽는 것은 시간낭비라 폄하해왔다. 그러다가 최근에 문학의 필요성에 대해 깨닫게 되었다. 내가 생각하여 결론을 내린 문학을 읽는 이유에 대해 적어본다. 우리는 사회 안에서 살아가고 있다. 따라서 나 혼자 사는 것이 아니라 사람과 만나서 ..

작은 생각 2013.01.17
반응형